오마이뉴스 | "말로는 친환경 무상급식, 현실은 가공식품과 노동착취"
관련링크
본문

교육당국이 학생들에게 '친환경 무상급식'을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현실은 친환경은 온데간데없고, 가공식품과 냉동완제품이 식판을 채우고 있다면서 학교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이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조리원과 영양사는 혹사당하며, 학생들은 건강한 식사를 누릴 권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입장이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전지부(지부장 김상임)는 27일 오후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너지는 친환경 무상급식 수수방관하는 대전광역시 교육청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학생들에게 친환경 무상급식을 제공하기 위해 학부모와 관련 단체들이 온 힘을 모아 노력해왔지만, 현재 학교의 현실은 '친환경 무상급식'이라는 이름만 남아있을 뿐, 점차 급식 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친환경'이라는 이름은 사라지고 가공식품과 냉동완제품이 학생들의 식판을 채우고 있다는 것. 또한 무상급식이라는 이면에는 가혹한 노동환경 속에 쓰러져가는 급식조리원의 희생이 자리하고 있고, 결국 학교급식실 시스템은 붕괴위기에서 위태롭게 매순간 땜질 처방으로 버티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의 핵심은 예산과 인력 부족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친환경이라는 이름에 맞지 않는 낮은 급식예산 책정과 조리원 한 명당 백 명이 넘는 학생들의 음식을 조리해야 하는 인력배치로, 결국 가공식품과 냉동완제품이 식판을 점령할 수밖에 없게 됐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대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더 이상 가공식품과 냉동완제품으로 학생들의 식판을 채우도록 내버려두어서도, 조리원들이 밥을 만들다 죽어가는 급식 시스템을 그대로 용납해서도 안 된다면서 현행 급식 시스템의 근본적 재검토를 촉구했다.
"가공식품이 식판 채우도록 두어서는 안 돼... 급식시스템 근본적 재검토해야"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그동안 우리의 급식제도는 서류 속 잘 다듬어진 문장 위에서만 '친환경 무상급식'일 뿐이었다. 친환경 무상급식을 누가, 어떤 환경에서 직접 노동하여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고민은 결여돼 있었다"고 밝혔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