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전력노동조합

MY MENU

관련뉴스

페이지 정보

WRITER: 최고관리자 /  DATE: 24-10-22 13:28 /  HIT: 1회

오마이뉴스 | 쉽게 상상할 수 없는, 요양원의 어떤 진실

본문

누구나 노년에 대비해 이런 소망을 가질지도 모르겠다. '내 집에서 무사히 죽을 수 있었으면.' 소망을 좀더 현실적으로 풀어 보면 어떨까. '어느 날 침대에서 일어날 수 없을 때 누구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까?' 혹은 '병원에 내원해야 하는데 누구에게 차를 태워 달라고 말해야 할까?'

요 몇 년간 사회적 화두로 떠오른 '돌봄'에 관한 이야기는 차고 넘치지만, 당장 의식주를 해결해야 하는 노년의 생활을 떠올려 보면 망연자실해진다. 돌봄으로 연대하는 방법은 고사하고 스스로 잘 살 수 있을지부터 의문스럽다.

내가 먼저 죽든 반려자가 세상을 뜨든 한 명이 홀로 살아간다고 예감하면, 늙어서도 이웃과 잘 돕고 사는 방법은 드라마틱하게 다가온다. 내 집에서 생활하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잘 먹고 잘 자는 1인분의 생활법을 터득하는 게 먼저다 싶다.

사회적 의제로서의 돌봄은 까마득하게 느껴지고, 머리로만 잘 죽는 방법에 골몰하는 동안 친정어머니는 큰삼촌이 임종에 이르실 때까지 여러 계절을 간호에 매달리셨다.

시어머니는 하루에 두 집을 꼬박꼬박 들러 요양보호사로서의 생활을 이어 나가셨다. 두 어른은 내가 돌봄을 자기중심적인 필요조건으로 이해할 동안 오래 버틴 사람들의 생활과 풍파를 정면으로 마주했다.

'돌봄의 프로'들이 기록한 땀내 나는 하루

IE003362375_STD.jpg

돌봄의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이 가까이 있었지만, 나는 그들이 늘 희생당한다고 '착각'했다. 업무 외 부당한 요구인 김장을 담그고, 물건이 없어졌다는 이유로 도둑 취급을 받아도 할 일을 완수하고 퇴근했다는 이야기를 듣다가 탄식만 내뱉었다.

뿐더러 나 스스로 돌봄 노동을 신성하게 여겨야 한다는 모종의 압박이 있었는데, 어쩌면 그 일의 곡절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려는 핑계였을지도 모르겠다.

요양보호사를 신뢰하는 선한 어르신과 요양보호사를 이용해 먹는 수상한 어르신 사이에서 고초를 감내하는 직업군. 일곱 요양보호사의 일기를 엮여 펴낸 <돌봄의 얼굴>은 그 무수한 편견을 호쾌하게 걷어내는 에세이다.

책에는 돌봄 현장의 '맥가이버'이자, 생을 버텨낸 타인들이 지금의 삶을 충분히 지속할 수 있도록 동력이 되어 주는 프로들의 하루가 상세하게 펼쳐진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희생의 아이콘이 아닙니다'.

일곱 요양보호사들의 일기 쓰기 프로젝트를 기획한 옥희살롱은 그간 나이 듦, 질병 등을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의제화해 온 생애문화연구소다. 이들 연구소는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요양보호사를 위한 온라인 사진+글쓰기 워크숍'을 열었다. 고립이 일상화되던 시기, 요양보호사들이 노인들 곁에서 위기 속 일상을 어떻게 만들어가는지 기록하기 위해서다.

옥희살롱은 요양보호사들과 이후 후속 모임을 열어 글쓰기를 계속했다. 요양보호사들은 SNS에 매일의 생활을 담아 짧은 글과 사진을 업로드했고, 서로의 글에 댓글을 다는 행보를 이어갔다. 그렇게 돌봄노동에 종사해온 요양보호사들의 하루가 모여 책으로 나왔다. <돌봄의 얼굴>은 꽤 두꺼워 보이지만, 생활이 묻어나오는 글들이라 한달음에 읽을 수 있는 이야기다. 은근한 유머와 재미도 톡톡하다.

일곱 요양보호사들은 이력이 다르지만 '돌봄의 베테랑'이라는 점은 같다. 양로원과 요양원에서 15년 차 이사 일해온 김영희, 반려닭을 키우며 7년 차 요양보호사로 살아가는 68세 이분순 등 저자들은 대다수 60대 이상 여성이다.

그들이 쓴 일기에는 당시 글을 기록한 날짜와 시간이 적혀 있는데, 새벽이거나 자정을 넘겨 쓴 흔적이 상당하다. 그 안에는 사람과 사건과 말맛이 있는데, 특히 문장마다 '활력'이 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TEL) 061-345-6013    FAX) 061-345-6004~7
오늘 방문자수 : 246

    노동단체

상단으로